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상반기 국내 차량 판매 현황 – 트렌드 정리

by esymbols 2025. 7. 4.
반응형

 

🚗 2025년 상반기 국내 차량 판매 현황 – 트렌드 정리

📊 내수시장 흐름과 주요 지표

2025년 상반기 국내 자동차 내수판매는 약 388,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분기에는 경기 기저효과 덕분에 388천 대 (38.8만 대)로 기록됐습니다.

코로나 이후 소비 위축으로 하락했던 내수는, 금리 완화 및 신차 출시 트렌드 반영으로 소폭 회복세에 진입한 모습입니다.

🚘 국산 브랜드 시장 점유율

브랜드 상반기 내수 판매 점유율(6월 기준)
현대 약 51,610대 (6월) 43.8%
기아 약 46,325대 (6월) 39.4%
제네시스 10,454대 8.9%
르노코리아 5,013대 4.3%
KGM 3,041대 2.6%

6월 기준 국산차의 내수 판매량 합계는 117,707대, 전체 내수의 약 80.7%를 차지합니다.

🔥 인기 국산 차종 TOP 5 (6월 기준)

  • 쏘렌토 – 7,923대
  • 아반떼 – 7,334대
  • 카니발 – 6,714대
  • 스포티지 – 6,363대
  • 그랜저 – 5,579대

상반기 국산차 시장은 SUV 중심의 수요가 지속되며, 패밀리카 인기 모델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수입차 시장 상황

5월 기준 수입차 판매는 28,184대(전체 내수의 19.3%)였습니다.

브랜드별 상위권은 테슬라(6,570대), 벤츠(6,415대), BMW(6,405대) 순이며 프리미엄 브랜드가 주도권을 잡고 있습니다.

⚡ 친환경차 판매 동향

1분기 전체 내수 중 친환경차가 차지한 비중은 지난해 대비 빠르게 성장해 약 20% 이상 증가했으며, 169,000대 수준이었습니다.

전기차(EV)는 보조금 감소와 충전 인프라 부담 등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HEV(하이브리드) 수요는 오히려 증가세를 보입니다.

📈 수출 및 생산 지표

  • 상반기 수출량은 전년 대비 약 2.2% 감소, 미국 중심 수요 둔화 영향.
  • 제조업 생산 실적은 소폭 반등 중이며, 1분기 생산량은 101만 대 돌파.
  • GM 한국사업장은 상반기에만 249,355대를 판매하며 25만대 돌파에 근접했습니다.

📌 시장 요약 비교표

지표 상반기 수치 변화 요인
내수 실적 388,000대 (+2.7%) 금리 완화·신차 출시 기저효과
국산점유율 80.7% SUV 인기 지속
수입차 비중 19.3% 프리미엄 브랜드 견고한 성장
친환경차 약 20% 비중 HEV 성장, EV 소폭 감소
수출 감소세 전환 미국 수요 둔화·글로벌 리스크

🧭 시사점 및 전망

  • HEV 중심 내수 회복 흐름이 이어지며, 하이브리드 SUV 시장 확대 가능성
  • 전기차는 보조금 재정비 및 충전 인프라 보강이 수요 회복의 관건
  • 수출 둔화는 구조적 문제 및 글로벌 불확실성 영향으로 하반기까지 지속 우려
  • GM 등 외국계 브랜드 국내 생산 확대는 내수 공급 안정과 고용 확대 효과

🏁 마무리

2025년 상반기 국내 차량 판매는 내수 중심으로 소폭 회복세를 보였고, SUV와 HEV 중심의 트렌드는 확고해 보입니다. 다만 수출은 글로벌 변수로 인해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하반기에는 EV와 프리미엄 시장 동향, 보조금 정책 등이 판매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신차 출시 시점,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 전략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관심 있는 브랜드와 차종 중심으로 꾸준히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

반응형